기: 경락을 타고 끊임없이 흐른다.
샥티: 첫번째 차크라에 잠들어있고 무한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 타고 있는 양초에 비유해보면,
- 녹는 초의 액체 부분: 인체를 순환하는 기
- 양초의 고체 부분: 잠재적 에너지인 샥티
샥티를 깨우는 방법
① 흔들림없는 집중력으로 차크라에 기를 모으는 것. (차크라를 깨워 그 힘을 수련하는 노력에 더해야 한다.)
② 반다 수련
반다
사전적 의미 "묶다, 제한하다". 차크라 주변의 특정 근육을 수축하여 기의 흐름을 촉진하는 것.
반다 수련
근육을 부드럽게 수축하고, 호흡하고, 호흡을 참는 것. 의식과 기를 몸 안으로 모아 차크라 주변으로 집중시켜 샥티가 깨어나는 것을 도와준다. 숨을 내쉴 때 집중하는 차크라 주변으로 기를 모아 근육을 수축하고, 숨을 마실 때 근육을 이완하여 반다를 푼다. 근육을 수축할 때는 부드럽게 해야하고 악기를 연주하듯 리듬감있게 조절해야한다.
대체로 명상 전에 하지만, 명상 도중 산만한 상태를 바로잡아 다시 집중을 유도할 때도 좋다.
들숨-날숨-참기 의 리듬
4-4-8
4-4-12
8-8-8
8-8-16
※ 호흡을 참을 때는 목구멍(성문)을 눌러닫지 않는다.
1. 물라다라 반다
꽃: 골반의 바닥은 항문과 생식기를 둘러싸고 보조한다.
골반의 바닥은 여러 개의 근육으로 이루어져있다. 어떠한 조직이든 긴장하여 반다에 대한 자각을 활성화하는 것이 중요.
- 여자: 항문, 생식 통로의 근육을 수축(하나만 혹은 둘다)
- 남자: 항문, 회음부 근육을 수축(하나만 혹은 둘다)
숨을 내쉬는 동안 골반 바닥을 수축하며 물라다라에 마음을 집중하고
(물라다라 차크라 안에서 시바와 샥티의 에너지가 하나가 되는 것을 상상)
잠시 멈췄다가,
수축을 서서히 풀면서 숨을 물라다라를 향해 들이마신 후
(정수리에서 시바의 에너지가 수슘나로 하강하여 물라다라에 존재하는 샥티의 에너지와 만남)
목구멍을 편안히 열어 둔 채로 호흡을 잠시 참는다.
(시바와 샥티의 에너지가 하나로 통합되는 것을 상상)
집중을 유지한 채로 몇 초간 쉬었다가 같은 방법으로 반복.
7번, 14번, 21번 반복
물라다라 차크라의 바사나: 육체적 세상에 존재하고자 하는 욕망, 외부적 가치로 자신을 평가하는 행동으로 표출됨.
2. 스바디스타나 반다
꽃: 배꼽과 치골 사이의 아랫배 부분
스바디스타나 반다 수련=바즈롤리
숨을 내쉬는 동안 아랫배를 수축하고 잠시 멈추어 마음을 집중.
(스바디스타나 차크라 안에서 시바와 샥티의 에너지가 하나가 되는 모습을 상상)
천천히 수축을 풀면서 숨을 아랫배를 향해 들이마신 후,
(시바 에너지가 수슘나로 하강하여 스바디스타나로 들어간다)
물라다라 반다는 수축하고 목구멍은 열어둔 상태에서 숨을 참는다.
(샥티 에너지가 수슘나를 통해 스바디스타나로 올라와 시바 에너지와 하나가 되는 것을 상상)
다시 물라다라 반다를 이완하고 스바디스타나 차크라에 마음을 모으고 잠시 쉬었다가 같은 방법으로 반복.
7번, 14번, 21번 반복
스바디스타나 차크라의 바사나: 무의식적 성욕, 분노, 공포. 짜증을 내거나 이상적이고 비밀스런 행동을 하는 것으로 표출됨.
물라다라 차크라 + 스바디스타나 차크라 = 단전 or 하라
이 외에 아래와 같은 5가지 차크라 관련 반다가 있다.
3. 우디야나 반다(마니푸라 차크라)
4. 아나하타 반다
5. 비슈다 반다
6. 아기아 반다
7. 사하스라라 반다
'초보 요가 강사 > 아사나 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폴 그릴리 <인요가, 나에게 주는 최고의 이완과 휴식> - 차크라 (0) | 2021.12.20 |
---|---|
폴 그릴리 <인요가, 나에게 주는 최고의 이완과 휴식> - 바르게 앉기 (0) | 2021.12.17 |
폴 그릴리 <인요가, 나에게 주는 최고의 이완과 휴식> - 인요가 기본동작 (0) | 2021.12.16 |
폴 그릴리 <인요가, 나에게 주는 최고의 이완과 휴식> - 나의 인요가 수련 (0) | 2021.12.15 |
폴 그릴리 <인요가, 나에게 주는 최고의 이완과 휴식> - 인요가 수련법 (0) | 2021.12.14 |